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세대 실손보험 도수치료 횟수제한, 보장금액, 자기부담금은 어떻게 될까?

by ∞≫∋φξ 2022. 9. 28.

지난 2세대 실손보험에 이어 이번에는 3세대 실손보험 가입자가 받을 수 있는 연간 도수치료 횟수, 보장금액, 자기 부담금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3세대 실손보험부터는 1, 2세대와 달라지는 점이 많으니 잘 확인하셔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3세대 실손보험 연간 도수치료 횟수 제한은 350만원 한도 내에서 50회입니다.

3세대 실손보험은 2017년 4월부터 2021년 5월까지 가입한 분들에게 해당됩니다. 3세대 실손보험의 도수치료 연간 횟수는 50회로 지난 1, 2세대 실손보험보다 현저히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도수치료를 받은 총 치료비용에 대한 한도도 350만으로 정해졌습니다. 즉, 350만원 한도와 50회의 횟수 안에서 받는 도수치료 비용만 보장받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3세대 실손보험 도수치료 연간 횟수가 줄어든 이유는 이 시기에 도수치료 과잉진료가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3세대 실손보험에 가입한 분들은 연간 50회까지만 도수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도수치료 과잉진료로 보험사의 실손보험 손해율이 지속 올라갔기 때문에 보험사에서 실손보험을 개정할 때 연간 횟수를 제한하게 된 것입니다.

 

 

3세대 실손보험 통원 의료비 한도는 2세대와 마찬가지로 20만원, 25만원, 30만원입니다.

3세대 실손보험으로 도수치료를 받았을 때 보장받을 수 있는 통원의료비 한도는 각 보험사별로 다르지만 2세대와 마찬가지로 20만원, 25만원, 30만원입니다. 본인의 통원의료비 한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가입한 실손보험의 증권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증권에서 통원의료비 한도가 얼마인지 확인하신 후 도수치료 비용과 비교해서 치료를 받으시는 게 보장을 최대로 받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보장금액인 통원의료비 한도가 동일한 것은 이 부분을 줄이게 되면 가입자들의 반발이 크기 때문에 한도 부분은 보험사에서도 건드리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3세대 실손보험 도수치료 실비 자기 부담금은 1, 2세대와 완전히 다릅니다.

1, 2세대 실손보험 도수치료 실비 자기부담금은 1세대는 5천원, 2세대는 병원급에 따라 5천원, 1만원, 2만원으로 명확하게 정해졌는데요. 3세대부터는 도수치료 과잉진료 이슈에 따라 도수치료를 특약으로 제외하고 치료비용 전체의 20%와 2만원 중 큰 금액을 자기 부담금으로 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도수치료 비용이 20만원이라면 자기 부담금은 20만원의 20%인 4만원과 2만원 중 큰 금액인 4만원이 되는 것입니다.

1, 2세대에 비해 도수치료 실비 자기 부담금이 크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3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들은 도수치료 비용이 얼마냐에 따라 내야 하는 자기 부담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3세대 실손보험으로 도수치료를 받을 수 있는 연간 횟수와 한도, 보장금액, 자기 부담금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3세대 실손보험부터는 달라지는 점이 많으니 이번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댓글